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맞춤법 검사기 특징 파악하고 사용하자(네이버/다음/국립국어원)

by 👩‍🦱👨‍🦲₩°|♧《¿¡£ 2024. 2. 17.

글이나 문서를 작성한 후 맞춤법 혹은 띄어쓰기를 올바르게 했는지 확인하는 것은 어느 순간부터 매우 중요한 절차가 된 것 같습니다. 이는 글이 아무리 풍부하고 내용이 좋아도 맞춤법이 엉망이면 신뢰가 떨어져서 사람들의 외면을 받기 때문입니다. 이에 간단한 방법으로 맞춤법과 띄어쓰기를 검사할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맞춤법 검사기 특징 제대로 파악하자

네이버 간단한 글귀 검사하기

네이버 검색창에 [맞춤법검사기]를 검색하면 상단에 최대 300자까지 맞춤법을 검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공해 준다. 검사를 희망하는 단어나 문장을 입력하면 빠르고 쉽게 검사해 줍니다.

 

[검사하기] 버튼을 누르면 우측 창에 교정 결과가 나오며 총 4가지 카테고리인 맞춤법, 표준어 의심, 띄어쓰기, 통계적 교정으로 어느 부분을 교정해야 하는지 알기 쉽게 표시해 줘서 이해하기 쉽고 교정 완료된 글을 바로 복사할 수 있는 기능까지 제공해 줍니다.

 

 

다음 장문의 글귀 맞춤법 검사하기

다음 검색창에서 [맞춤법검사기]를 검색하면 상단에 별도의 링크와 바로 검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표시된다. 다음은 한 번에 최대 700자까지 검사할 수 있어서 많은 글을 검사해야 할 때 다음이 더 편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링크에 들어가 맞춤법 검사기 서비스를 이용하면 최대 1,000자까지 검사할 수 있으니 적극 활용해 보도록 하자.

 

엄격한 교정을 원하면 국립국어원 맞춤법 검사기

개인적으로 네이버 혹은 다음도 가끔 맞춤법 교정이 완벽하지 않을 때도 있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정말로 중요한 문서라면 국립국어원 맞춤법 검사기 사용을 추천하며, 해당 검사기는 교정 대상과 교정 이유까지 친절하게 설명해 주어서 학습에도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